-
목표 없는 스타트업은 나침반 없는 항해와 같다
스타트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와 측정 가능한 지표가 필요합니다. 이때 많이 거론되는 두 가지 관리 프레임워크가 바로 KPI(Key Performance Indicator)와 OKR(Objectives and Key Results)입니다.
스타트업에 맞는 지표 관리 방식이 무엇인지, KPI와 OKR의 차이와 선택 기준, 도입 시 고려사항 등을 실전 중심으로 정리합니다.
KPI와 OKR, 무엇이 다른가?
구분 KPI OKR목적 성과 측정 목표 달성 및 방향 설정 구성 지표 중심 목표(Objective) + 핵심 결과(Key Results) 적용 방식 지속적인 운영 중심 분기별 도전 목표 중심 성격 보수적, 예측 가능성 중시 도전적, 유연성 중시 성과 평가 성과 평가 도구로 사용 학습과 피드백 중심
핵심 요약
- KPI는 성과를 관리하고 측정하는 도구
- OKR은 도전적 목표를 정하고 팀 정렬을 이끄는 시스템
이런 도구를 처음 접한다면 자동화 초보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툴을 활용해 보세요. 스타트업 전용 플랜 제공 중입니다.
스타트업에는 어떤 지표 시스템이 맞을까?
1. 초기 스타트업 (팀 규모 1~10인)
- OKR 적합
- 전체 팀이 하나의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게 만드는 데 효과적
- 빠른 피드백과 유연한 목표 수정이 가능
2. 성장 중기 (10~50인)
- OKR + KPI 혼합
- 도전적인 OKR로 방향을 설정하면서, 주요 퍼포먼스는 KPI로 측정
3. 안정기 이후
- KPI 중심
- 반복 가능한 수익 모델과 안정적 운영을 기반으로 성과 관리에 초점
스타트업 KPI와 OKR,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? 실제 사례: OKR을 도입한 스타트업 B사
- 팀 규모: 7명
- 도입 배경: 방향성 혼란, 프로젝트 우선순위 불명확
- 도입 OKR 예시:
- Objective: "사용자 리텐션을 30% 향상시킨다"
- KR1: 리텐션 분석 리포트 주간 발행
- KR2: 리텐션 관련 기능 A/B 테스트 3회 실행
- KR3: 고객 인터뷰 10건 진행
도입 2개월 후:
- 불필요한 기능 개발 제거
- 팀 내 커뮤니케이션 효율 상승
- 사용자 이탈률 18% 감소
KPI와 OKR 도입 시 주의할 점
KPI 도입 시
- 과도하게 많으면 팀원이 '숫자 채우기'에만 집중
- 정량 지표 외에도 정성 평가 보완 필요
OKR 도입 시
- 모든 팀원이 이해하고 공감해야 작동
-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측정 불가능한 목표는 지양
OKR 도입이 막막하다면?
OKR관리툴을 통해 팀 목표를 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스타트업에 최적화된 OKR 템플릿도 제공됩니다.결론: 스타트업은 '왜'와 '무엇을'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
KPI는 '얼마나 잘 하고 있는가'를 확인하는 도구이고, OKR은 '어디로 가고 있는가'를 묻는 시스템입니다.
스타트업에서는 두 시스템을 병행하거나 단계적으로 전환하며 사용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.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선 도구보다 문화를 함께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'스타트업 성장 전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타트업 스케일업이란? (0) 2025.08.05 스타트업 운영 최적화 완전 가이드 (0) 2025.08.04 스타트업 운영에서 꼭 챙겨야 할 핵심 지표 7가지 (1) 2025.08.03 아웃소싱 전략으로 리소스를 효율화하는 법 (0) 2025.08.02 스타트업 운영 최적화란? (0) 2025.07.31